AWS Lambda 3

[AWS] AWS Lambda/cold start/warm start/lambda 런타임/lambda event/메모리 할당/실행 제한 시간

이 글은 AWS Lambda로 시작하는 서버리스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 작성자 : 임나경 Ch5. AWS Lambda 2. Amazon Lambda의 동작 이벤트를 감지 -> Micro VM 띄움 -> 함수 실행 -> 결과 처리 * 런타임 :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환경. 언어 마다 환경이 다름. 환경에 따라 성능 차이 AWS Lambda의 내부 정보 Compute substrate : 함수가 실행될 Micro VM Execution Environment : 환경 변수 등의 실행환경 Language runtime : 언어별 런타임 Function : 함수 Compute substrate ⊃ Execution Environment ⊃ Language runtime ⊃ Function 람다 실행 -> ..

[AWS] 서버리스란 무엇인가

이 글은 AWS Lambda로 시작하는 서버리스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 작성자 : 강다인 1. 서버리스란 무엇인가 백엔드를 제대로 경험해보지 못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서버리스, 서버리스하는 말들은 많이 들어봤다. 그 놈의 서버리스, 대체 뭘까? 일단 추측하기로는 client - server - database 구조에서 위치하는 'Server' 없이 동작하는 방식의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됐다. 그런데 정말 물리적으로 서버가 '없는'데도 동작할 수 있을까? 당연히 안된다. 서버리스란 물리적인 서버를 직접 구축하는게 아닌!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로 서버의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다. 물리적인 서버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경제적이고 유지보수의 어려움도 낮출 수 있다. 서버리스의 이해를 위해서 XaaS도 빠..

[AWS] 서버리스란? / 권한 관리 하기

이 글은 AWS Lambda로 시작하는 서버리스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 작성자 : 임나경 Ch1. 서버리스 1. 서버리스란? 서버리스(Serverless)란 말 그대로 서버가 없다는 뜻일까요? 이는 서버가 없는 것이 아니라, 서버에서 처리하는 작업들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처리하는 것을 뜻합니다. 2. Cloud Native Patterns XaaS(Everything as a Service) 또는 Cloud Native Patterns를 알아야 서버리스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. 먼저, 온프레미스(On-premise)란 무엇일까요? 온프레미스란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클라우드가 아닌 전산실 서버에 설치.운영 하는 것입니다. 현재 온프레미스(구 방식) 방식에서 클라우드로 많은 기업들의 서버가 이전 중입니다..